천연기념물과 보호수의 차이 – 지정 기준과 대표 사례

 정원·조경·문화재 관련 글을 찾다 보면 ‘천연기념물’과 ‘보호수’라는 표현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. 두 용어 모두 귀중한 나무를 지키기 위한 제도이지만, 지정 주체와 법적 효력, 보호 범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천연기념물과 보호수의 지정 기준과 차이, 그리고 대표적인 사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.


장성 필암서원 은행나무 - 천연기념물


🏛 천연기념물 – 국가가 지정하는 문화재급 나무

천연기념물은 문화재청이 지정하는 국가 문화재 중 하나로, 「문화재보호법」에 따라 역사적·학술적·경관적 가치가 큰 동식물, 지질, 지형 등을 포함합니다. 나무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.


📌 천연기념물 지정 기준

역사성 – 전설, 인물, 역사적 사건과 연관된 나무

희귀성 – 국내에서 보기 드문 종이거나 독특한 형태를 지닌 나무

규모와 수령 – 수령이 매우 오래되었고(보통 500년 이상), 크기나 형태가 뛰어난 나무

학술적 가치 – 생태·유전적으로 보존 가치가 높은 나무

천연기념물로 지정되면 나무뿐만 아니라 주변 일정 구역도 함께 보호되며, 훼손·이식·벌목이 엄격히 금지됩니다.


🌟 대표 사례

  • 보성 열화정 느티나무 (천연기념물 제530호) – 수령 약 600년, 마을의 수호목으로 전해짐
  • 제주 비자나무 숲 (천연기념물 제374호) – 국내 최대 규모의 비자나무 군락지
  • 장성 필암서원 은행나무 (천연기념물 제30호) – 학자들의 모임과 관련된 역사적 장소


🛡 보호수 – 지방자치단체가 지정하는 마을 지킴이 나무

보호수는 지방자치단체(시·군·구청)가 「산림보호법」 또는 자체 조례에 따라 지정하는 나무입니다. 천연기념물보다는 범위가 넓고, 마을 공동체와 깊이 연관된 경우가 많습니다.


📌 보호수 지정 기준

수령 – 보통 100년 이상 된 나무(지역 조례에 따라 차이 있음)

마을 상징성 – 마을 입구나 중심부에 위치, 주민들의 모임·행사 장소

학술·경관 가치 – 지역 생태계 보존, 관광 자원으로서 가치

희귀성 – 드물게 자라는 수종이나 특이한 형태

보호수로 지정되면 지방자치단체가 관리·보존 작업을 지원하며, 필요 시 병충해 방제, 지지대 설치, 가지치기 등의 관리가 이뤄집니다. 다만, 심하게 훼손되거나 고사한 경우 지정 해제될 수 있습니다.


🌟 대표 사례

  • 서울 창덕궁 향나무 – 수령 750년, 궁궐 경관과 역사적 가치
  • 경북 봉화 거북바위 보호수 소나무 – 특이한 줄기 형태로 지역 명물
  • 전남 순천 낙안읍성 느티나무 – 마을 회관 앞의 상징수


🏛️ 천연기념물 vs 🌳 보호수 차이와 지정 기준

구분 천연기념물 (Natural Monument) 보호수 (Protected Tree)
🔹지정 주체 문화재청 (국가) 지방자치단체 (시·군·구청)
🔹법적 근거 「문화재보호법」 「산림보호법」 또는 지자체 조례
🔹지정 목적 학술적·역사적·문화적 가치를 지닌 자연물 보호 생태적·경관적 가치가 높은 노거수 보호
🔹대상 희귀 수종, 유전적으로 독특한 개체, 전설이 있는 나무, 고령 수목 등 오래된 나무(노거수), 마을을 지킨 당산나무, 조경 가치가 높은 수목 등
🔹수령 기준 일반적으로 수백 년 이상, 역사성·희소성 동반 수령 100년 이상(단, 생태적·경관 가치가 있으면 예외 가능)
🔹지정 효과 국가 보호, 원형 보존 최우선, 함부로 손댈 수 없음 지방정부 차원의 관리 및 보수 가능
🔹예시 정이품송(보은), 장수하늘소 서식지, 설악산 주목 군락 마을 느티나무, 교회 앞 은행나무, 초등학교 앞 보호수 등


💡 마무리 – 나무 보존의 가치

천연기념물과 보호수는 모두 세대를 이어 살아온 나무를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한 제도입니다. 국가 지정이냐, 지방 지정이냐의 차이가 있을 뿐, 각각의 나무는 우리 역사와 문화, 그리고 생태계의 일부로서 소중히 지켜야 할 존재입니다.

역사 속 이야기가 담긴 나무를 직접 찾아가 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. 여행이나 답사를 계획한다면, ‘천연기념물 나무 지도’, ‘보호수 탐방 코스’ 같은 키워드로 검색해 보시면 관련 정보와 여행 코스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.

다음 이전